평신도목회의 현주소 평신도목회의 현주소 목회자는 평신도들이 성서적인 비전을 가지고 에클레시아(ecclesia-모이는 것) 사명과 디아스포라(diaspora-흩어지는 것) 사명을 잘 감당하도록 도와주어야 하는 막중한 책임을 지고 있다. 초대 교회들을 보면 끊임없이 사명을 감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성도들에게 이런 비전.. 신앙/제자훈련 2007.09.06
평신도목회의 신학적 작업 평신도목회의 신학적 작업 오스카 퓨켓(Oscar Fecucht)은 [모든 사람은 목회자이다] 라는 과감한 제목의 책에서 교회는 조직(organization)이기보다는-살아있고, 변화하고 다이나믹한- 유기체라고 제안한다 이유는 크리스챤은 우리에게 약속한 성령의 능력을 받은 몸으로서 함께 모여, 단지 효과적인 기구가 .. 신앙/제자훈련 2007.09.06
신약성서의 교회 신약성서의 교회 목사의 직위(office)는 교회안에서 가장 높은 위치로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런 인식은 불행한 생각인데, 이유는 그 생각은 크리스챤들을 두 계급으로 만들면서 양분시키고 말기 때문이다: 즉, 평신도와 성직자 이런 잘못의 근원은 교회가 신약성서 ".. 신앙/제자훈련 2007.09.06
왜 교회가 정체되는가 왜 교회가 정체되는가 평신도 사역의 분야에는 왜 좀처럼 진보가 없는 것일까? 지난 30년 이상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서구 교회에서는 평신도 사역을 강조하는 책들과 다른 자료들이 홍수처럼 쏟아져 나왔다. 책이나 자료 외에도 이 주제에 관한 세미나, 비디오, 강의 테이프, 등을 흔히 볼 수 있다. 목.. 신앙/제자훈련 2007.09.06
멜빈의 평신도목회(LPM) 멜빈의 평신도목회(LPM) 평신도목회자개념이 처음으로 소개된 것은 미국인 멜빈스타인브런 박사에 의해서였다. 그가 오하이오에 있는 칼리지힐 장로교회 교역자로 있을 때 헌신적인 몇 명의 평신도 그룹과 함께 평신도목회를 계획하기에 이른다. 이것이 그 출발점이다. 그는 평신도는 "양떼를 돌볼 수 .. 신앙/제자훈련 2007.09.06
평신도의 역할 평신도의 역할 교회에서의 평신도 역할에 관한 문제는 어디까지나 보다 큰 시야에서 설명되어져야 한다. 21세기 초에 즈음하여 세계 선진국들의 교회는 보다 높은 효율성을 위해 필사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인 우리, 역시 새 천년 준비를 위해 우리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찾.. 신앙/제자훈련 2007.09.06
'교회론'에서 본 평신도의 신학적 위치 '교회론'에서 본 평신도의 신학적 위치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이다: 교회가 하나님의 백성이라고 말할 때, 이것은 바로 교회가 하나님을 선택하고 하나님에게 무슨 임무를 맡긴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먼저 교회를 선택하시고 교회에게 특별한 임무를 맡기셨다는 것을 표현하는 말이다. 하나님이 아브.. 신앙/제자훈련 2007.09.06
평신도가 바라는 것 평신도가 바라는 것 진지한 평신도에게 가려운 곳이란 바로 불완전하게 고용되어 있다는 느낌이다. 만약 평신도가 불완전 고용 때문에 가려워하고 있다면, 목회자는 과잉 고용 때문에 가려워한다. 목회자는 설교자, 목회자, 상담자, 전도자, 행정 책임자 그리고 사무실 사환 등 [1인 교회 악단]이 되어 .. 신앙/제자훈련 2007.09.06
평신도의 잠재력 평신도의 잠재력 평신도(laos)는 하나님의 백성이 되는 최고의 존엄성을 간직하고 있는 사람들이다(벧전 2:9-10). 평민에 해당하는 즉 성직자와 구별되어 '일반 백성에 속하다'는 의미의 일반적인 헬라어 라이코스(laikos)는 신약 성경에서 한 번도 사용되지 않았으며, 주후 95년에 로마의 클레멘트가 사용하.. 신앙/제자훈련 2007.09.06
평신도목회혁명 평신도목회혁명 1950년대에 엘톤 트루블라드(Elton Trueblood)는 이런 말을 하였다: "만약 교회가 모든 평신도는-남여를 막론하고-정말로 그리스도의 사역자라는 인식을 심각하게 취한다면, 우리는 아주 짧은 시간에 뭔가 혁명과 같은 일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오늘날 점점더 많은 교회들이 이런 혁명을 경.. 신앙/제자훈련 2007.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