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은 왜 도요타를 선택하는가 | |||
매일경제신문은 서울대 경영전문대학원과 공동으로 경영학을 공부하는 학생뿐만아니라 기업인, 직장인에게 도움이 될 만한 신경영학 정보를 시리즈로
연재합니다. = 미국 소비자가 코롤라를 구매한 이유는 그 성능이 지오 프리즘보다 뛰어났기 때문이 아니라 코롤라 또는 도요타라는 무형의 브랜드 가치 때문이었다. 미국 500대 기업은 전체 시장가치에서 브랜드와 같은 무형자산의 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다. 1980년대 초반 시장가치에서 유형자산(땅, 제품재고, 자본 등)이 차지했던 비중이 70%에 육박했던 것이 2003년에 들어서는 25%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자산이 유형자산에서 무형자산으로 바뀌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자료이다. 최근 문제 기업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GM은 2005년 매출액 기준으로 세계 6위 기업이지만 브랜드자산 순위로는 세계 100대 기업에도 들지 못했다. ◆ 브랜드 사이언스의 등장 = '브랜드 사이언스(brand science)'가 등장한 것은 브랜드 자산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는 반면 브랜드 관리는 점차 복잡해지면서 더욱 과학적인 관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비즈니스 위크지는 2005년 브랜드자산 평가 회사인 인터브랜드(Interbrand)와의 공동조사에서 코카콜라를 세계 일등 브랜드로 꼽았다. 코카콜라의 브랜드 가치는 자그마치 675억달러, 우리 돈으로 65조원이다. 한국 기업으로는 삼성(20위), 현대(84위), LG(97위) 3개 기업이 세계 100대 브랜드에 그 이름을 올렸으나 이들 세 브랜드의 가치를 모두 합쳐도 코카콜라 브랜드 가치의 3분의 1에도 못 미친다. 브랜드 자산 또는 가치라는 개념은 경영이론가나 실무자의 편의상 만들어진 개념이다. 그러므로 브랜드 가치의 측정은 브랜드 자산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달려 있다. 또 브랜드 가치는 평가하는 목적에 따라 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 외부 관계자와 기업 내부관리 위해 평가 = 브랜드 가치를 평가하는 이유로는 첫째 인수합병과 같이 기업 외부 관계자를 위해 브랜드 가치를 측정하는 경우다. = 학자들간에 다소 이견은 있지만 브랜드 자산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에는 브랜드 충성도, 인지도, 지각된 품질(perceived
quality) 그리고 브랜드연상(brand association) 등 네가지가 있다. < Copyright ⓒ 매일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생산성 > 세계최강 생산성 T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요타 신화` 브레이크 걸리나 (0) | 2007.03.12 |
---|---|
[스크랩] [데일리안]광양제철소 외주파트너사 CEO 및 직원, 도요타 벤치마킹 실시 (0) | 2007.03.12 |
근골격계질환예방 - 도요타 모토마치공장 (0) | 2007.03.12 |
[스크랩] < 하이브리드카에 집중하는 도요타 > - The New York Times (`05/09/07) (0) | 2007.03.12 |
[스크랩] [펌] 도요타 무한성장의 비밀 (0) | 2007.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