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성령&부흥

[스크랩] 1907년 한국의 부흥운동 (3)

가디우스 2009. 11. 2. 15:03

1907년 한국의 부흥운동 (3)
 박 기 호 박사 | 플러신학대 선교대학원 한국학부 원장/아시아 학부 교수

4) 다른 사람들에 대한 영향:

 

부흥운동의 효과는 평양으로부터 한반도 전역으로 확대되었으며 심지어 중국에까지 미쳤다. 중국 주재 선교사 요나단 고포드(Jonathan Goforth, 1859 1956)는 1907년 대부흥이 일고 있던 해에 한국의 주요 선교부 8곳을 방문하였다. 중국으로 돌아오는 길에 그는 그가 한국에서 본 것을 묵덴(Mukden)에 있는 중국인 성도들에게 말해 주었는데 그들은 깊은 감동을 받고 한국인 성도들의 이야기를 듣고 울음을 터뜨렸다. 그는 배태호(Pei Tai Ho)에게 가서 거기에 있는 선교사들에게 주께서 어떻게 한국을 축복하셨는가를 말해주었다. 그리고 그는 몇몇 사람이 눈물로 그들이 같은 축복이 중국에 올 때까지 기도할 것이라고 서원하는 것을 들었다.

 

그는 한국에서의 부흥에 대한 이야기를 지궁산(Chi Kung Shan)에서 주일 저녁에 말했다. 그가 그 이야기를 마쳤을 때 축도로 집회가 마쳤지만 아무도 움직이지 않았다. 죽음의 침묵이 지배하였다. 그 침묵이 6-7분 지속되었고 그 후 청중들 가운데 눌렸던 울음이 터졌다. 죄들을 고백하고 사납게 성질을 낸 것과 싸운 것들에 대한 용서를 구했다. 집회가 끝났을 때가 너무 늦었지만 모두 성령님께서 그들 가운데 계시며 불로 성결케 함을 느꼈다.

 

그 때 그들은 나흘간 수련회를 열고 기도하였다. 그 일은 고포드가 일찍이 선교사들 사이에 보지 못했던 가장 놀라운 일이었다. 그들은 중국교회가 부흥될 때까지 매일 오후 4시에 기도할 것을 결의하였다. 그 해 가을에 그들은 하나님의 능력이 사람들 가운데 나타나는 것을 보았으나 만주와 다른 곳에서 1908년 초 이후에 더욱 능력 있게 일어났다(Goforth, When the Spirit's Fire, 7 8).

 

5) 더 높은 수준의 신앙과 사역에 헌신:

성경공부반 외에 새신자들에 대한 높은 수준의 추가 훈련이 시작되었다. 1903년 평양에서 신학교가 6명의 학생으로 시작되었다. 서북 지방의 큰 교회성장은 비록 평양이 수도도 아니고 나라의 문화 중심도 아니었지만 신학교를 평양에 세워야할 필요를 느끼게 하였다.

1905년 22명의 신학생들 가운데 몇 명만이 서울 출신이었고 두 세 명은 다른 남쪽에서 왔다. 많은 학생들이 북쪽 출신이었다. 제 2차 세계대전 때까지 한국 장로교회와 4개의 참여 선교부는 한국 전체를 위하여 이 한 신학교를 후원하였다.

1907년 1월 평양 장대현교회에서 시작된 이 대부흥운동은 웨일즈 부흥운동, 미국의 제 2차 부흥운동, 그리고 아주사 거리에서의 오순절 부흥 운동과 같이 기독교 학교들, 성경학교들, 그리고 평양신학교에 영향을 끼쳤다. 평양 대부흥운동의 영향이 지속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평양에 모여 신학교육을 받았다(Shearer, Wildfire, 131).

 

6) 종교적인 습관 형성:

여전히 또 다른 부흥운동의 결과는 종교적인 습관 형성이다. 이미 주목한 바와 같이 그 운동의 시작은 선교사들 가운데 성경공부와 기도와 관련이 있고, 평양 부흥운동은 장로교 남자 사경회 기간 동안 터진 것이다. 처음부터 기독교 문서가 한반도에서 개신교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성경공부와 함께 기도가 함께 들어갔다(Paik, History, 377).

한국 그리스도인들에 저녁집회 후 산에 가서 꽁꽁 언 바닥에 무릎 꿇고 성령을 부어주시도록 하나님께 소리 높여 기도하는 것은 일반적인 일이 되었다.

 

7) 불신자들 전도:

부흥운동은 불신자 전도운동이라기보다 신자들의 영적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다. 불신자 전도는 교인들로서 의무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부흥은 개종한 사람들의 영적인 삶과 종교적인 경험을 성정시키는 계절로 간주되었다.

이점에 있어서 한국의 부흥은 미국이나 영국의 부흥운동과 사뭇 다르다. 그러나 우리는 신자들 가운데 부흥과 다른 사람을 전도하는 전진운동 사이의 밀접한 관계에 대한 관점을 잃어서는 안 된다. 신자가 새롭고 아직까지 경험하지 않은 기독교 경험을 하게 될 때 그는 즉시 그리스도인으로서 그의 의무를 의식하게 된다(Paik, History, 377).

부흥은 이와 같이 새로 발견한 신앙을 다른 사람에게 전하는 것으로 연결된다. 부흥의 또 다른 효과는 그러므로 광범위한 전도이었으며 이것이 새신자들의 큰 운집으로 이어졌다. 부흥운동과 전도운동은 손에 손을 잡고 가는 것이며 부흥회들은 사경회들과 연관되었다. 사경회는 부흥의 씨를 심고 영혼을 구원코자 하는 내적인 욕구를 주고 전도로 표현되었다(Paik, History, 378).

한국교회의 부흥운동은 한국인성도들에게 그들의 이웃들과 세상 다른 나라에 있는 사람들을 사랑하고 전도하는 열정을 부여하였다.

출처 : 남미선교문화원 "선교사의 집"
글쓴이 : Paulo 원글보기
메모 :